섬망과 루이소체 치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웹관리자 댓글 0건 조회수 7,144회 등록일 2022.11.22 09:45

본문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치매 환자도 증가하여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치매에 걸리면 기억력, 인지 기능이 떨어지고 심해지면 가족도 몰라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의심하거나 폭언이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여서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매는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을 떠올리는데 아직까지 대중에게는 생소하지만 ▶루이소체 치매도 있습니다.
루이소체는 망가져 가는 신경세포 안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덩어리로, 파킨슨병 환자의 주요 병변 부위인 뇌간의 흑질 부위에서 주로 관찰이 됩니다. 루이소체가 대뇌 전체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면 알츠하이머병과 매우 유사한 치매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루이소체 치매(DLB)는 두 번째로 흔한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그러나 DLB는 다양한 임상 증상 때문에 적절하게 진단되지 않을 수 있다. 저자들은 파킨슨의 움직임, 인지력 저하, 심리적 증상, 자율신경 장애 등을 보인 65세 A씨를 제시한다. 최근 개정된 DLB 기준의 임상적 특징과 생물학적 지표에 따르면 A씨는 DLB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진단됐다. 섬망, 파킨슨 치매, 알츠하이머 치매의 감별 진단이 논의됐다. 항우울제나 항우울제의 정신약리학적 치료는 참을 수 없는 부작용을 일으켰고 A씨에게는 별다른 효능을 보이지 않았다. 그녀는 1년간의 치료 동안 저나트륨혈증의 두 가지 증상을 경험했다. 1차 저나트륨혈증으로 인한 신경증상의 회복은 시간이 많이 걸렸고 2차에서는 비교적 가벼운 저나트륨혈증에도 불구하고 의식수준의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치료 후기에 발생한 낙상은 DLB 증상과 일상생활 기능의 현저한 저하를 유발했다. 낙상 예방은 DLB 환자의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루이 소체는 망가져 가는 신경세포 안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덩어리로써 파킨슨병 환자의 주요 병변 부위인 뇌간의 흑질 부위에서 잘 관찰됩니다. 이런 루이 소체가 대뇌 전체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발견 될 때에는 알츠하이머병의 증상과 매우 유사한 치매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수면장애를 겪는 루이소체 치매 환자가 많습니다. 자는 동안 소리를 지르거나 말하면서 통곡하고 격렬한 움직임을 보이는 렘수면 장애를 비롯하여, 종종 꿈에서 깨어날 때 꿈과 현실을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낮잠을 과도하게 많이 자거나 불면증을 겪기도 합니다. 그리고 파킨슨병과 유사하게 운동장애를 보이기도 합니다. 팔다리가 경직되어 움직임이 느리고, 떨림과 같은 운동장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루이소체 치매와 파킨슨병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여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이 중복되는 부분이 많은데, 인지증상이 운동장애보다 먼저 나타나거나 비슷한 시기에 보이면 루이소체 치매라고 합니다. 운동 증상이 나타나고 1년 정도 지난 후에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나면 파킨슨병 치매라고 합니다. 루이소체 치매가 진행될수록 환각, 섬망, 망상, 공격적인 행동, 우울증, 수면장애와 같은 정신적인 문제가 더 심해지고, 배뇨장애, 신체 경직, 혼자서 일상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인지기능 장애가 가끔씩 나타나지만 악화될수록 점차 허공을 응시하고 반응성이 느려 보이고, 의식이 희미한 상태에서 걸어가기도 합니다.

말기섬망
섬망증은 완화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두 번째로 자주 경험되는 정신 질환이다. 그러나 정신과 의사들은 지금까지 죽음을 앞둔 말기 환자들에 대한 치료에 관여하지 않았고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1) 완화치료 중인 환자의 20~70%에서 섬망증이 발생한다. 환자의 거의 90%에서 95%가 임사 후 48시간 이내에 섬망 증세를 경험한다.
2) 시사점 : 말기 섬망 증세는 환자에게 정서적 고통을 유발한다. 특이한 행동은 가족과 간병인들에게 부담을 가중시킨다.
  궁극적으로 치료에 대한 의사소통 곤란과 비협조는 임박한 사망시 유의미한 작별의 교환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사망을 촉진시킨다
3) 증상 : 섬망의 4가지 특징적인 증상은 의식장애, 기타 인지장애, 급성발작 및 증상변동, 수면-각성 주기 변화이다.
          행동학적 관점에서 섬망증은 저능동적, 과능동적, 혼합적 패턴으로 분류될 수 있다.
4) 병인 : 소인(취약성) 요인과 사건 요인의 복합 작용에 의해 섬망 병인생리학이 발달할 수 있다.
5) 관리 : 말기 섬망의 관리는 예리한 평가, 원인의 규명 및 역행, 약리학적, 환경적, 영적 개입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결론: 말기 섬망증은 수명이 다한 거의 모든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 사랑하는 사람, 간병인에게도 어려운 경험이다. 말기 섬망증은 다층적 병인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치료에서, 약리학적, 환경적, 영적 개입과 결합된 다학제적 치료가 바람직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